회전근개파열 증상 및 치료
어깨관절을 안정 유지시키는 근육과 건을 회전근개라고 합니다. 우리가 어깨를 돌리고 올리고 내리고 하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어깨 관절 움직임과 결합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이 회전근개가 근육파열 또는 어깨 충돌 증후군 등으로 통증 및 어깨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어깨와 팔을 연결시키고 있는 어깨관절의 앞, 뒤, 위쪽을 싸고 있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등 4개의 근육과 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완골의 대소관절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중년 이후 어깨통증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가 회전근개파열 입니다.
중년이후 나타나는 어깨통증 원인 중 가장 대표적이긴 하지만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한다면 어느 연령대에서라도 나타날 수 있는 이 회전근개파열 구체적인 증상과 어떻게 치료하면 될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회전근개파열 주 증상
어깨 주변 근육의 위축과 약화로 팔을 들어올릴 때 통증을 느낍니다. 또한 팔을 최대한으로 올리고 내릴 때도 통증을 느끼게 되고 팔과 어깨를 돌릴 때도 아픔을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팔을 완전히 위로 들어올리면 통증이 덜 느껴지게 됩니다.
또한 팔을 움직이면 어떤 마찰음이나 잡음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어깨 근육이 약화되어 운동범위도 감소되고 밤이 되면 더 통증이 심해집니다.
회전근개파열 원인
정상마모와 손상입니다. 즉 40세 이후 나이가 들면 정상적인 근육과 건의 근육과 섬유성 단백질 파괴가 발생합니다. 이것은 퇴행과 손상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나이를 먹으면 근육과 건의 칼슘이 침착되기도 하고 관절골극이 발생하기도 하면서 회전근개를 자극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세가 불량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됩니다. 거북목이나 어깨를 앞으로 내밀거나하면 회전근개 근육의 공간이 좁아지기 쉽고 이로 인해 어깨뼈 때문에 자극을 받기 쉽습니다. 그리고 공을 던지는 자세도 관계가 있습니다.
여기에 넘어지면서 팔과 어깨에 충격이 심하게 가해졌거나 무거운 짐을 들어올리거나 밀거나 하는 등의 동작으로 근육이 손상을 입기도 합니다.
회전근개파열 치료
보존적 치료 방법과 수술이 있습니다. 보존요법이란 수술 없이 하는 것으로 심한 경우라면 2주 정도는 어깨를 가능한한 사용하지 않도록 고정해서 안정을 취하고 물리치료와 스트레칭 요법등을 배워서 실시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환부 주변을 풀어주고 운동을 병행하면서 조직을 다시 강화시켜 갑니다.
여기에 회전근개파열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체외충격파 그리고 주사 치료 등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파열 정도가 약할 때 가능한 것으로 파열 정도가 심하면 수술을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회전근개봉합술은 찢어진 부분을 재건하는 수술이며 골극을 제거하는 견봉성형수술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불가능한 경우는 인공관절치환술 등의 수술을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